우리나라의 대학에서 교육되고 있는 사회복지학은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복지 자체에 대한 탐구나 교육보다 사회복지사 양성이 더 중요한 목표이자 과제로 되어 있다. 이것이 옳은 것인가 하는 부분은 매우 심도 있고 광범위한 논쟁이 필요할 것이다. 현실을 받아들인다 해도 수많은 사회복지학 입문서 중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제시해주는 책은 잘 보이지 않는다.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이하 “협의회”라 한다)의 교과목지침서 중 <사회복지학 개론>을 보면,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활동의 전문성, 사회복지사 노동조건과 처우,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등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이 지침서는 사회복지사를 전문가로 상정하고 있다. 그러면서 사회복지사의 노동조건과 처우를 다루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서의 금번 개정에서는 협의회의 취지를 반영하고 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좀 더 심층적으로 성찰하게 하기 위하여 사회복지 실천주체로서 사회복지사를 실천가, 전문가, 행정가, 노동자로서 이해하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3년간 코로나로 인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전대미문(前代未聞)의 사태를 겪어야 했다. 충격적이기도 했던 이러한 경험을 통해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사에 대하여 더욱 근본적으로 돌아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개정하게 되었다. 부디 우리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튼튼하게 자리잡기를 바란다.
계묘년(癸卯年) 1학기 말
천잠산 기슭에서
윤 찬 영
1. 정의(正義, Justice)
2. 인권(human rights)
3. 욕구(needs)
1. 개인의 행위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2. 더불어 살기 위한 행위
3. 사회복지학(Welfarics)
1.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2. 사회복지학의 특성
1. 사회 속에서의 인간
2. 구체적 인간
3. 인간발달
4. 사회복지와 인간발달
5. 사회환경
1. 사회문제
2. 사회적 위험
3. 사회적 욕구
1. 산업사회론적 관점
2. 자본주의 사회론적 관점
3. 기타 사회복지 개념
4. 새로운 경향, 새로운 변화
1. 사회보장(Social Security)
2. 사회사업(Social Work)
3. 사회(복지)정책(Social Welfare Policy)
4. 사회적 서비스(Social Service)
5. 복지국가와 복지사회
6. 자원봉사(Voluntary Work)
7. 사회적 비용(Social Cost)
1. 사회복지발달의 동기
2. 사회복지 발달이론
1. 제도적 이념
2. 사회복지이념의 모형
3. 실천적 가치
1. 사회복지 대상자의 성격
2. 대상자 선정의 기준과 범위
1. 국가
2. 민간: 비영리조직
3. 민간: 영리조직
4. 국가와 민간의 역할
5. 사회복지사
1. 현금급여
2. 현물급여
3. 기회
4. 서비스
5. 유가증권(증서)
6. 권력
1. 전달체계의 의의
2. 전달체계의 원칙
3. 공공 전달체계의 문제점
4. 민간 전달체계의 문제점
5. 보건복지사무소
6. 사회복지사무소
7.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1. 사회복지재원
2. 사회복지비 지출
1. 이념과 철학
2. 사회보험제도
3. 공공부조
4. 사회복지서비스 및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