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사회복지조사론 –제3판-

저자강영걸 정주석 김정우 신정인

  • 발행일2022-02-10
  • ISBN978-89-5809-949-9 (93330)
  • 정가20,000
  • 페이지수372
  • 사이즈4*6배 변형

도서 소개

 

 
☞ 1판 1쇄  2014년 8월 18일
    2판 1쇄  2018년 1월 30일
    3판 1쇄  2022년 2월 10일
 
 
제3판 머리말
 
2018년에 개정판이 나온 이후 4년 만에 재개정판이 나오게 되었다. COVID19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전 세계가 들끓는 와중에 새 판이 나온다는 것이 어울리지는 않지만, 저자 입장에서는 사회복지학계가 이 책을 더 많이 찾는다는 의미인 것 같아서 한편으로는 기쁘기도 하다.
조사방법론 분야는 새로운 트렌드나 유행을 찾기는 힘들다. 과학철학이 이 분야의 토대인 탓으로 새로운 방법론이 나오기는 어려운 탓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번 재개정판도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보다는 앞선 개정판에서 미진하게 다룬 부분 또는 잘못된 부분을 수정ㆍ개정ㆍ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제1장부터 제4장까지의 내용과 제6장 실험설계 내용 가운데 앞선 개정판에서 미진하게 다루었거나 잘못 서술한 부분을 대폭 수정ㆍ보완하였고, 각 장(chapter) 말미의 예상문제 가운데 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도 수정ㆍ보완하였다.
지난 개정판 머리말에서 우리 저자들은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부 학생, 대학원생,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및 사회복지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수시로 참고하는 책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는데, 이 소회는 이번 재개정판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이 여러분의 공부와 정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이번 재개정판 작업을 도와주신 정민사 영업부ㆍ편집부 여러분께도 머리 숙여 깊이 감사드린다.
2022년 2월
대표 저자 강영걸
 
 
개정판 머리말
 
2014년 8월에 나온 이 책의 개정판이 3년 반 만에 나오게 되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 지난 3년 반 동안 이 책의 내용을 보완하고 개정해야 할 중요한 사정이 생긴 것이 아니라, 책의 내용을 더 간결하고 명확하게 해야 할 상황의 변화가 있었다.
최근 거의 모든 대학은 학기당 15주 수업 체제로 바뀌었다. 이 책을 쓸 때는 16주 수업을 상정하고 책의 내용을 구성했는데, 학기당 수업 시간이 바뀌었으니 책의 구성도 바꿀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전 책에서 언급한 사례나 문장 표현 가운데 수정해야 할 부분도 다소 있었다.
이번 개정판은 전체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전 책이 14장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니, 2개의 장을 다른 장에 병합한 셈이다. 대학에서 학기당 15주 수업을 하는 경우, 강의를 시작하는 첫 주와 중간시험이 있는 중간 주 그리고 기말시험이 있는 마지막 주에는 강의가 없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학기당 15주 수업의 경우 사회복지조사론 강의는 12주 동안에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우리는 이런 현실을 감안해서 개정판에서는 종전의 14장을 12장으로 줄이기로 하였다. 종전 책의 ‘제5장 측정과 척도’ 그리고 ‘제6장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개정판에서는 ‘제5장 측정과 척도’로 묶었고, 종전 책의 ‘제10장 자료수집’과 ‘제14장 연구보고서 작성’도 개정판에서는 ‘제12장 자료수집과 보고서 작성’으로 병합하여 가장 마지막에 배치하였다.
책의 구성도 대학 상황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요구에 맞게 순서를 조정하였다. 종전 책의 ‘제13장 질적 연구방법’을 개정판에서는 ‘욕구조사와 평가조사’, ‘자료수집과 보고서 작성’보다 앞인 제10장에 배치하여 각 장 사이의 연계와 통합 효과를 높이고 목차만으로도 이 책의 구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2014년 책에서 저자는 “이 책은 총 14장으로 구성되었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준비하는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또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가들도 수시로 참고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쓴 바 있다. 이번 개정판도 사회복지사 1급 자격시험을 공부하는 사람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수시로 참고할 수 있도록 책을 충실하게 재구성하였다. 아무쪼록 이번에 나오는 개정판도 사회복지조사론을 공부하는 많은 사람이 수시로 그리고 즐겨 찾는 책이 되기를 바란다.
지난 3년 반 사이에 저자 4명의 신변에도 변화가 있었다. 2014년 책에서 ‘머리말’을 썼고 지금 이 ‘개정판 서문’을 쓰고 있는 사람은 2016년 2월 대구대학교에서 정년퇴직하였고 김정우, 신정인 두 박사님도 소속 기관에 변화가 있었다. 정주석, 김정우, 신정인 세 분 저자 모두 새로운 환경에서 자신의 학문에 계속 정진하기를 빈다. 아울러 이번 개정판 작업을 도와주신 정민사 편집부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
2018년 1월
대표 저자 강영걸
 
 
 
차례
 
머리말
 
01 ❘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1. 과학의 정의
2. 과학적 방법과 과학적 조사연구
3. 과학적 지식
4. 과학철학
5. 사회과학의 과학성
▸예상문제
 
02 ❘ 사회복지 조사방법론
1. 사회복지와 조사방법론의 관계
2. 사회복지 조사연구의 필요성
3. 사회복지 조사연구의 특성
4. 사회복지 조사연구와 윤리적 문제
5. 사회복지 조사연구의 한계
▸예상문제
 
03 ❘ 조사연구의 절차와 종류
1. 조사연구의 절차
2. 조사연구를 실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3. 조사연구의 종류
4. 변수의 조작 가능성에 따른 분류
5.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에 따른 분류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예상문제
 
04 ❘ 조사연구와 가설의 형성
1. 연구문제의 선정
2. 개념과 변수
3. 가설의 형성
▸예상문제
 
05 ❘ 측정과 척도
1. 측정
2. 척도
3.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예상문제
 
06 ❘ 표본추출
1. 표본조사의 의의
2. 표본조사의 설계
3. 표집(표본추출)의 유형
4. 대표성과 표본크기
5. 표집오차와 비표집오차
▸예상문제
 
07 ❘ 실험설계
1. 실험설계의 특징과 내적ㆍ외적 타당성
2. 실험설계의 종류
▸예상문제
 
08 ❘ 단일사례연구
1. 단일사례연구의 개념
2. 단일사례연구의 특징
3. 단일사례연구의 기본구조와 수행과정
4. 단일사례연구의 유형과 특징
5. 단일사례연구의 자료수집과 자료분석방법
▸예상문제
 
09 ❘ 내용분석
1. 내용분석법의 개념과 특징
2. 내용분석법의 절차
3. 내용분석법의 장점과 단점
▸예상문제
 
10 ❘ 질적 연구방법
1. 질적 연구방법의 의미와 특성
2. 질적 연구방법의 종류
▸예상문제
 
11 ❘ 욕구조사와 평가조사
1. 욕구조사
2. 프로그램 평가조사
▸예상문제
 
12 ❘ 자료수집과 보고서 작성
1. 자료의 종류와 자료수집방법의 구분
2. 서베이법: 설문지법과 면접법
3. 관찰법
4. 연구보고서 작성
▸예상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강영걸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미국 University of Arizona 경영학박사(조직행동 및 조사방법론 전공)
대구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복지학과 명예교수
 
저서
∙ 거시조직이론의 이해(2012)
∙ 현대조직의 이해(2009)
∙ 사회심리의 이해(2008) 외 다수
 
논문
∙ 공공ㆍ민간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비교 연구(2012)
∙ 1930년대 대중잡지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대중”: 잡지 『조광』을 중심으로(2012)
∙ A comparative study 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2014)
∙ 식민지 시기 조선일보 사주 방응모의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2015)
∙ 재벌형 조직의 생성과 발전에 관한 거시이론적 접근(2016)
∙ 일본경영시스템에 대한 서구 문화주의 관점 연구(2016)
 
 
정주석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 졸업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석사
경희대학교 행정학박사
당진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 공동위원장(전)
신성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저서
∙자원봉사론(2012, 공저)
∙지역사회복지론(2010, 공저)
∙사회복지행정론(2008, 공저) 외 다수
 
논문
∙당진군 장애인복지 욕구실태와 정책 과제(2010)
∙지방정부의 조직관리 혁신(2006)
∙통합관리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1998)
∙조직과 인간의 통합(1997)
∙행정서비스의 적정공급수준결정과 효율적 공급방안에 관한 연구(1995) 외 다수
 
 
김정우
대구대학교 산업복지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석사(인사ㆍ조직 및 노사관계 전공)
건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박사(인사ㆍ조직 및 노사관계 전공)
미국 Oklahoma State University 객원연구원
건국대학교, 대구대학교 강사
사회복지사 1급
 
저서 및 논문
∙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posing Research Agendas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2017)
∙ 한국의 청년고용 II(2017)
∙ 일터학습기반의 채용시스템에 관한 연구(2015)
∙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2009) 외 다수
 
 
신정인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상담학과 박사
대상관계 심리상담 <풀다> 소장
 
논문
∙ 대학생의 대상관계가 긍정적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 분리개별화,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2011)
∙ 동물매개치료(AAT: Animal-Assisted Therapy)에 대한 이해와 상담 적용적 함의(2016)
 
역서
∙ 관계 속의 무의식(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