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판 1쇄 2022년 2월 15일
머리말
오늘날 사회복지사로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론』을 필수교과목으로 학습해야 한다. 필자가 대학생이었던 1980년대 초에는 『케이스워어크』라는 교과목이 본 교과목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필자가 1987년부터 사회복지사로서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기 시작하고 1990년대 초 대학원 석사과정과 2000년대 박사과정을 마치는 사이에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을 위한 교과목이 개정되면서 『케이스워어크』와 『그룹워어크』라는 교과목이 『사회복지실천론』이라는 교과목으로 통합되었다.
2004년에 공저로 『사회복지실천론』 초판(이준우, 이화옥, 임원선)을 출판하고 2006년에는 개정판을 내었다. 그리고 2011년에는 『전문사회복지실천론』을 새롭게 집필하여 출판(이준우, 임원선)하였다. 이제 시간이 또 흘러 새로운 『사회복지실천론』을 출판하기에 이르렀다. 기존의 저서가 너무 내용이 복잡하고 글이 많다는 의견들이 다수 있어서 시대적 흐름에 맞게 가독성을 향상시키 위해 내용을 간단하게 축약하고 새롭게 정리하여 출판하기로 한 것이다.
본서는 3부로 구분하여 사회복지를 구현하는 방법론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노력했다.
제1부 “사회복지실천 이해”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이해를 돕기 위해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순으로 정리하였다.
제2부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수준과 기술”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수준,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통합적 접근,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 면접의 방법과 기술을 소개하였다.
제3부 “사회복지실천의 과정과 방법”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1: 접수 및 자료수집,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2: 사정,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3: 계획 수립,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4: 개입(실행),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5: 평가 및 종결 순으로 소개하였다.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에는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에서 지도해주신 은사님들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15년간 활동하면서 만난 동료 사회복지사들과 수많은 서비스이용자들의 도움이 컸다고 생각한다. 서비스이용자들을 만나면서 부족함을 깨닫고 더 학습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94년부터 강단에 서면서 시간강사와 겸임교수,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만나온 수많은 제자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두 번의 『사회복지실천론』과 『전문사회복지실천론』 공저자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끝으로 본 원고를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준 배재대학교 실버보건학과 정혜원 교수와 신한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제자 이리아 선생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나아가 이번 책을 내기까지 많은 수고를 해주신 양서원출판사 직원 여러분께도 감사를 드린다. 이 책을 통하여 사회복지사로서의 꿈을 키워갈 후학들에게도 미리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2022년 2월
임원선
차례
일러두기
머리말
Part 01 사회복지실천 이해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1.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3.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실천의 이념적 배경
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Chapter 03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1. 사회복지실천현장
2. 사회복지사의 활동
Part 02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수준과 기술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수준
1. 개인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2. 가족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3. 집단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4. 지역사회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통합적 접근
1.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
2. 통합적 접근의 개념과 특징
3.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모델: 문제해결모델
4. 사회복지실천의 관점과 준거틀
Chapter 07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
1. 관계의 개념과 특성
2. 관계의 기본원칙
3.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4.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다루기
5. 전문적인 원조관계 기술
Chapter 08 면접의 방법과 기술
1.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개념과 목적
2. 면접의 기술
3. 기록
Part 03 사회복지실천의 과정과 방법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1: 접수 및 자료수집
1. 접수
2. 자료수집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2: 사정
1. 사정의 개념과 특성
2. 사정 단계의 과제
3. 사정의 내용과 도구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3: 계획 수립
1. 목적 및 목표 설정
2. 계획 수립
3. 계약: 계획의 합의 단계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4: 개입(실행)
1. 개입의 개념과 원칙
2. 개입의 범주
3. 개입의 유형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5: 평가 및 종결
1. 평가
2. 종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