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교육심리학

저자김회엽, 엄재춘, 조혜영, 서동기, 홍지명, 전상준, 신봉호

  • 발행일2019-06-27
  • ISBN978-89-5809-742-6
  • 정가19,000
  • 페이지수324
  • 사이즈46배판

도서 소개

☞ 1판 1쇄 : 2019-06-27

머리말

밭이 있어도 경작을 하지 않으면 곳간이 비게 되고(有田不耕倉廩虛),
책이 있어도 자손들을 가르치지 않으면 어리석게 된다(有書不敎子孫愚).
곳간이 비면 생활하는 데 궁핍하게 되고(倉廩虛兮歲月乏),
자손이 어리석으면 사람 사는 질서에 어두워진다(子孫愚兮禮義疎).
경작하지도 않고 가르치지도 않는다면(若惟不耕與不敎),
그것이야말로 부형의 잘못이 아닐는지(是乃父兄之過歟)?
- 백거이 -

  학문을 권장하는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글이다. 우리는 지식의 곳간을 쌓기 위해 다양한 학문 활동을 한다. 루소는 인간의 삶의 단계는 각각 나름의 고유한 특성이 있으므로,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의 고유한 특성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교육은 이러한 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교실의 모습은 여러 가지 모습이며, 그 안에 있는 학생들의 색깔도 제각각이다. 이제는 무엇을 가르치냐의 문제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의 변화가 교육현장에도 몰려들고 있다. 이제 사회는 자신의 전문 영역만을 고집하는 시대를 넘어, 다른 영역과의 다양한 융ㆍ복합 활동을 통해 제3의 영역을 차원 높게 발전시켜 나가는 결과물을 요구하고 있다.
  교육심리학이란 인간의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는 교육의 방법에 대한 과학적ㆍ이론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실천을 지원하고자 하는 가치중립적 학문이다. 교육심리학은 교육이 발생하는 학교라는 상황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수업과정인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 즉 교수-학습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교사와 학생 간에 상호작용 하면서 학교 실제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이해하는 데 관련된 학문이다. 이론과 연구는 단순히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에 머물지 않고, 교육현장에서의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적용ㆍ실천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려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이론적인 측면은 현장에 올바르게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집필하였다.
  장차 많은 학생이 교사가 되었을 때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배움에 대한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는 인간의 행동에 대한 조그마한 변화를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지금보다 더 재미있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많은 방법을 제시하는 학문으로 교육심리학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수업 방법이 바뀌지 않으면 학교가 바뀌지 않고 변화하지도 않으며, 교육 방법 또한 변화하지 않는다. 교육의 한 영역 가운데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수업을 하면서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는 문제에 대하여 끊임없이 고민하여 왔고 고민하고 있다. 교실에서의 작은 변화 노력, 즉 수업 방법의 변화는 우리의 교육을 올바르고 시대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는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길잡이가 되길 바라는 조그마한 바람으로 여기에 또 하나의 미완의 결과물을 조심스럽게 세상에 내밀어 본다.
  이 책은 제1장 교육심리학의 기초(전상준), 제2장 인간의 발달(홍지명), 제3장 인간의 인지적 특성(김회엽), 제4장 인간의 정의적 특성(엄재춘), 제5장 인지발달 이론(홍지명), 제6장 성격 발달 이론(조혜영), 제7장 도덕성 발달 이론(서동기), 제8장 행동주의 학습이론(김회엽), 제9장 인지 및 인본주의 학습이론(엄재춘), 제10장 구성주의 학습이론(엄재춘), 제11장 특수한 학습자(신봉호), 제12장 생활지도와 상담(신봉호)으로 책임 집필하였다.
  그동안 이 책이 나오기까지 한 문장 한 문장을 어떻게 써 내려갈까를 노심초사하면서 많은 고민을 거듭해 온 집필진들과 그 가족들의 보이지 않는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리고 부족한 원고의 출판을 기꺼이 허락해주신 정민사 박세원 대표님과 관계자 여러분들께 이 지면을 빌어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2019년 6월
미향 여수에서 저자를 대표하여
김회엽

차례

CHAPTER 01 교육심리학의 기초
  1. 교육심리학의 개념
  2. 교육심리학의 성격
  3. 교육심리학의 발달과정
  4. 교육심리학의 영역
  5.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CHAPTER 02 인간의 발달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일반적 원리
  3. 발달과업

CHAPTER 03 인간의 인지적 특성
  1. 지능
  2. 창의성
  3. 인지양식
  4. 인지적 특성의 교육적 활용

CHAPTER 04 인간의 정의적 발달
  1. 동기
  2. 불안
  3. 자아개념
  4. 적응
  5. 흥미
  6. 정의적 특성의 교육적 활용

CHAPTER 05 인지발달이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CHAPTER 06 성격발달이론
  1.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CHAPTER 07 도덕성 발달이론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3.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이론

CHAPTER 08 행동주의 학습이론
  1. 학습의 개념
  2. 행동주의적 학습의 관점

CHAPTER 09 인지 및 인본주의 학습이론
  1. 학습에 대한 인지주의의 관점
  2. 학습에 대한 인본주의의 관점

CHAPTER 10 구성주의 학습이론
  1. 등장 배경과 개념
  2. 학습유형
  3. 구성주의 학습이론
  4. 구성주의 단원 사례
  5. 구성주의 교육과정

CHAPTER 11 특수한 학습자
  1. 특수학습자의 이해
  2. 특수교육

CHAPTER 12 생활지도와 상담
  1. 생활지도의 이해
  2. 상담의 이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김회엽(金會葉)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전) 순천대학교 외래교수
현) 전라남도여수교육지원청, 한국지역사회교육문화ㆍ연구소 부소장
     진로직업컨설팅연구소 부소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동문사, 2015), 교육심리학(공저, 동문사, 2016),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공저, 정민사, 2017), 인간과 교육(공저, 정민사, 2017), 교육학의 이해(공저, 정민사, 2018),
진로와 직업 워크북(공저, 정민사, 2019)

엄재춘(嚴在春)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 교육학박사
현) 곡성교육지원청Wee센터 전문상담교사, 참심리상담센터 부소장
저서) 에니어그램과 행복(공저, 한국에니어그램연구소, 2014), 교육학개론(공저, 동문사, 2015),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공저, 교육과학사, 2016), 교육학의 이해(공저, 정민사, 2018),
진로와 직업 워크북(공저, 정민사, 2019)

조혜영(曺惠永)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전) 순천대학교 외래교수, 인력개발원 학생상담센터 전임상담원
현) 참성장심리상담연구소 소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동문사, 2015), 교육심리학(공저, 동문사, 2016), 교육철학 및 교육사(공저,
정민사, 2017), 인간과 교육(공저, 정민사, 2017), 교육학의 이해(공저, 정민사, 2018),
진로와 직업 워크북(공저, 정민사, 2019)

서동기(徐東基)
국립경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 교육학박사
현) 순천대학교 외래교수, 순천대학교 스마트교육센터 전임연구원
저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공저, 경상대학교출판부, 2014), 교육심리학(공저, 동문사, 2016),
교육철학 및 교육사(공저, 정민사, 2017), 인간과 교육(공저, 정민사, 2017), 교육학의 이해
(공저, 정민사, 2018), 진로와 직업 워크북(공저, 정민사, 2019)

홍지명(洪志明)
국립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전공 교육학박사
전) 전남대학교 외래교수
현) 세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진로직업컨설팅연구소 부소장
저서) 영유아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공저, 양서원, 2012), 보육실습(공저, 상아탑, 2016), 인간과
교육(공저, 정민사, 2017), 교육학의 이해(공저, 정민사, 2018), 진로와 직업 워크북(공저, 정민사, 2019)

전상준(田尙準)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전) 중등학교 교사, 순천대학교, 한영대학 외래교수
현) 청암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지역사회교육문화ㆍ연구소 소장
진로직업컨설팅연구소 소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동문사, 2015), 교육심리학(공저, 동문사, 2016), 교육철학 및 교육사(공저,
정민사, 2017), 인간과 교육(공저, 정민사, 2017), 교육학의 이해(공저, 정민사, 2018), 진
로와 직업 워크북(공저, 정민사, 2019)

신봉호(申鳳浩)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 교육학박사
전) 순천대학교 겸임교수
현) 중등학교 교장, 한국상담평가학회, 전남미래교육연구회 이사
진로직업컨설팅연구소 자문위원회 위원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동문사, 2015), 교육심리학(공저, 동문사, 2016),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공저, 정민사, 2017), 인간과 교육(공저, 정민사, 2017), 교육학의 이해(공저, 정민사, 2018),
학부모와 함께 하는 학교교육(공저,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2013), 진로와 직업 워크북
(공저, 정민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