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18년 02월 25일
머리말
영유아에게 세상은 무수한 탐색과 탐구가 이루어지는 시·공간이다. 무엇인지 알고 싶고 어떠한 내용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입과 손으로 탐색하면서 세상을 알아가는 영유아에게 ‘교과교재’는 살아가고 세상을 탐색하는 자료가 된다. 학습과 발달을 중심으로 한 적기적소의 교과교재를 통해 영유아의 호기심과 학습능력을 유발시키기에, 매체인 교과교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교재는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 및 놀이에 적합한 교수지침서가 되도록 교육과정과 교과교재의 활용 및 제작을 중심으로 엮어진 현장연계 지도서라 할 수 있다.
내용 구성을 살펴보면 1부에서는 교과교재의 이론과 체계로 개념과 기초적 이해를 돕고자 이론적 배경과 교과교재 연구의 기본 원리와 제작 및 선정과 활용방법을 소개하였다.
2부에서는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의 실제로 0~2세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단위활동과 교과교재의 제작 및 자료의 특성과 선택방법을 제시하여 예비 유아교사와 현장교사들의 창의력 및 수업 아이디어의 재창출을 돕고자 하였다.
끝으로 책을 엮는 데 함께 해주신 공저 교수님들과 정민사의 박세원 대표님을 비롯하여 편집부 여러분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당신들의 수고와 정성으로 또 한 권의 현장 지도서가 세상에 나오게 됨을 감사드린다. 고맙습니다.
2018년 2월
추운 겨울날 대표 저자 이선애
차례
머리말
Part 1 교과교재의 이론 및 체계
Chapter 1 교과교재의 정의 및 개념
1. 교과교재의 정의
2. 교과교재의 개념
3. 교과교재의 중요성과 필요성
4. 영유아교육에서의 교과교재
Chapter 2 교과교재의 역사적 배경
1. 코메니우스의 교육철학과 세계도회
2. 루소의 아동관과 교수방법
3. 페스탈로치의 교육 실제와 실물교수
4. 프뢰벨의 실천교육과 은물
5. 몬테소리의 교육사상과 감각교구
Chapter 3 교과교재의 기초 이론적 배경
1. 데일의 경험원추이론
2. 올슨의 효율적인 학습이론
3. 브루너의 의사소통이론
Chapter 4 교과교재의 유형 분류
1. 경험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른 분류
2. 감각형에 따른 분류
3. 기기와 자료에 의한 분류
4. 제작 주체에 따른 분류
Chapter 5 교과교재의 선정과 제시에 의한 연구
1. 교과교재의 선정
2. 교과교재의 제시
3. 교과교재의 영역별 배치
4. 누리과정에 의한 교과교재 연구법
Chapter 6 교과교재의 제작 및 관리체계
1. 교과교재의 제작을 위한 계획
2. 교과교재의 체계적인 제작
3. 교과교재의 배치와 활용
4. 교과교재의 관리와 보관
Part 2 교과교재의 연구 및 지도법의 실제
Chapter 7 0~2세 표준보육과정에 의한 교과교재
1. 기본생활영역
2. 신체운동영역
3. 의사소통영역
4. 사회관계영역
5. 자연탐구영역
6. 예술경험영역
Chapter 8 3~5세 누리과정에 의한 교과교재
1. 신체운동·건강영역
2. 의사소통영역
3. 사회관계영역1
4. 자연탐구영역
5. 예술경험영역
Chapter 9 생활주제에 의한 단위활동 교육계획안 지도
1. 3세를 위한 단위활동 교육계획안 지도방법
2. 4세를 위한 단위활동 교육계획안 지도방법
3. 5세를 위한 단위활동 교육계획안 지도방법
Chapter 10 활동 유형별 교과교재의 지도법
1. 자유선택활동영역을 위한 교과교재
2. 대·소집단활동영역을 위한 교과교재
3. 개인별 활동영역을 위한 교과교재
Chapter 11 교과교재의 연구 및 평가
1. 교과교재의 연구방법
2. 교과교재의 평가
Chapter 12 교과교재의 활용매체 및 방향
1. 지류
2. 플라스틱
3. 자석
4. 스티로폼
5. 천류
6. 철사류
7. 접착류
8. 기구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선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유아교육전공(철학박사)
김포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한서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아동복지전공(사회복지학박사)
숭의여자대학교 아동미술보육과 교수
유은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아동복지전공(사회복지학박사)
경인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겸임교수, 사랑 유치원 원장
한경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 미술사 · 동양미학전공(철학박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