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18-02-27
머리말
유아교육개론은 유아교육을 처음 접하거나 관심 있는 이들에게 유아교육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해 주는 유아교육 입문서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인류가 경험해 보지 못한 것, 지금의 기술과 지식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변화를 우리는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전개 중이며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패러다임의 변화를 창출할 것이다. 이에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서는 미래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유아교육을 새롭게 인식하고 바라볼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본서는 총 14개의 분야로 나누어 유아교육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하였다. 제1장 유아교육의 이해에서는 유아교육의 범위에 대해 제반 관련법을 근거로 유아교육 대상을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이어서 유아교육의 정의, 어원, 목적과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변천과정, 현재 현황 등을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세계 유아교육의 동향을 소개하며 제4차 산업혁명시대와 유아교육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마지막 제14장 유아교육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미래교육에 대한 국제적 동향과 우리나라 사회의 변화 방향, 미래교육의 지향점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사교육, 학교폭력, 통일 대비 등 유아교육 측면에서 바라본 다양한 과제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집필진은 유아교육계의 변화에 대한 대응, 사회적 요구에 대한 해결책, 학문적 변화의 수용, 앞으로의 동향 등을 살펴보기 위해 본서를 집필하였다. 본서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이나 일선 유치원 교사 및 유아들에게 관심 있는 많은 분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라며, 부족한 부분은 계속 수정·보완해 나갈 것을 기약한다. 더불어 본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주신 정민사 임직원 여러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8년 2월
저자 일동
차례
CHAPTER 01 유아교육의 이해
1. 유아교육의 범위
2. 유아교육의 성격
3. 유아교육의 목적
4. 유아교육의 중요성
5.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6. 미래사회와 유아교육
CHAPTER 02 유아교육 관련법과 정책
1. 유아교육 관련법과 제도
2. 유아교육 관련 정책
CHAPTER 03 유아교사론
1. 유아교사와 전문성
2. 유아교사의 역할
3. 유아교사의 전문적 성장과 발달
4. 유아교사의 직업윤리
CHAPTER 04 유아교육의 이론적 기초
1. 심리학적 기초
2. 사회적 기초
CHAPTER 05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1.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과 시설관리
2. 유아교육기관의 인적 관리
3. 유아교육기관의 사무관리
CHAPTER 06 유아교육 평가
1. 유아교육 평가의 이해
2. 유아교육 평가유형 및 방법
CHAPTER 07 유아교육기관의 부모,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
1. 부모와 가족
2. 지역사회
CHAPTER 08 장애유아 통합교육
1.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이점
3.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현황 및 정책
4.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통합교육
CHAPTER 09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1. 몬테소리 프로그램
2.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3. 발도르프 프로그램
4. 프로젝트 접근법
5.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CHAPTER 10 유아교육과 놀이
1. 놀이의 정의 및 특성
2. 놀이성
3. 유아놀이이론
4. 놀이유형
5. 실외 놀이
CHAPTER 11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1. 고대~16세기의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2. 중세기의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인문주의와 종교개혁
3. 17세기의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실학주의
4. 18세기의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 계몽주의와 자연주의
5. 19세기의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 신인문주의
6. 20세기의 유아교육사상과 철학 : 진보주의
CHAPTER 12 교육·보육과정
1. 유아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
2.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3. 3-5세 누리과정
4. 표준보육과정
CHAPTER 13 영유아발달과 보육·교육
1. 발달의 개념과 원리
2. 발달의 영역과 단계
3. 영유아기의 발달
CHAPTER 14 유아교육의 전망과 과제
1. 미래사회와 유아교육
2. 사교육 예방의 과제
3. 학교폭력 예방의 과제
4. 통일 대비 유아교육
찾아보기
지성애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석사
Boston College, De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Ph. D.)
Boston College, De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MEd)
현)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배율미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석사
University of Toledo, Depart. of Early Childhood & Special Education(Ph. D.)
현) 국립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신금호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University of Alberta, Depart. of Elementary Education(MEd)
University of Victoria, Depart. of Curriculum and Instrument(Ph. D.)
현) 대구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박희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석사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
현) 국립공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정재은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The Ohio State University(M. A)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
현) 두원공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정하나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석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
현) 백석예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김성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석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
현) 동남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신수경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석사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
현)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