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이란 여러 인접 학문에서 교육에 관련된 사항을 발췌하여 탄생한 종합과학이다. 따라서 공부해야 할 양과 질이 너무나 방대하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학이 독립된 학문인가, 아닌가의 정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또한 종합적인 잡학인 교육학의 맥을 정리하는 데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교육학에 처음 입문자나 수험생들은 더욱 그러하다.
편저자는 이러한 고민들을 해결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그동안 노량진 임용고시학원과 대학에서 다년간 교육학을 강의해 오면서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은 선물인 교육학(교육학개론 상, 하)을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이 책은 교육학 각 각론서의 핵심을 요약ㆍ정리하여, 단기간에 교육학에 입문하는 독자들을 위해 교육학 개론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2. 교사임용고시, 교육행정고시, 교육행정직 시험, 교육전문직 시험, 교육연구사 시험, 교육대학원 시험 등 최근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각종 시험 대비를 하도록 하였다.
3. 각종 시험의 교육학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각 영역별로 분류하고, 기출 빈도를 표시하여 수험대비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4. 교육학의 맥이 될 수 있고, 공부에 키워드가 될 수 있는 부분에 색을 넣어 중요도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단기간에 교육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은 색이 들어간 부분을 집중적으로 숙지하면 효율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5.교육학 전 영역을 상권에는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제2장 교육의 철학적ㆍ역사적 기초, 제3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4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제5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하권에는 제6장 교육과정, 제7장 생활지도와 상담, 제8장 교육평가, 제9장 교육행정, 제10장 교사론, 제11장 교육연구 등을 수록하여 총 11장으로 구성하였다.
6.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각 장을 먼저 학습한 다음, 11장 각 영역을 서로 연결시켜 통합적인 사고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교사임용시험인 교육학 논술 대비도 될 수 있다.
끝으로, 이 책이 독자들의 교육학 입문에 일조하여, 책을 구입하며 소원했던 모든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2016년 11월 저자 한 민 석
ㅣ 차 례 ㅣ
제6장 교육과정
제1절 교육과정의 기초
제2절 교육과정 연구이론과 개발 모형
제3절 교육과정의 발전과 유형
제4절 우리나라 국가적 교육과정(국가수준의교육과정)
제7장 생활지도와 상담
제1절 생활지도의 기초
제2절 생활지도의 원리
제3절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
제4절 상담의 기초
제5절 주요 상담이론
제6절 생활지도의 실제
제8장 교육평가 및 통계
[1] 교육평가
제1절 교육평가의 기초
제2절 교육평가의 유형
제3절 교육평가의 절차
[2] 교육통계
제1절 교육통계의 기초
제2절 집단기술을 위한 통계(기술통계)
제9장 교육행정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
제2절 교육행정의 원리
제3절 교육행정의 주요 이론
제10장 교사론
제1절 교직의 본질
제2절 교원의 자질
제3절 교직원의 종류에 따른 임무
제4절 교원의 권리와 의무
제5절 교원의 인사
제6절 교원교육
제7절 교원윤리 및 교원단체
제11장 교육연구
제1절 교육연구의 기초
제2절 교육연구의 일반적 과정
■한민석
중앙대학교 대학원(교육학 박사)
현재, 광주여자대학교 교직과정부 교수
[저서]
일반교육학(1991, 육서당),
교육학(상ㆍ하)(2003, 서울고시각),
일반교육학(4권)(2010, LEC 에듀넷),
학교리더십의 이론과 실제(2015, 공역, 아카데미프레스)
교육철학 및 교육사(2016, 공동체)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