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판 1쇄: 2021년 1월 15일
머리말
2020년 겨울, 피카Rae Pica의 『Experiences in Movement & Music』 5판을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4번째 개정판을 번역 출간한 지 어느덧 10년, ‘동작과 음악 경험’을 유아, 교사 그리고 관련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고자 정진하는 저자에게 놀라게 됩니다. 우리는 유아들의 삶에서 음악과 동작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알고 있는 것과 행하는 것 사이 간극은 너무나도 큽니다. 유아들이 5개 영역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고, 인지적인 측면의 발달을 요구하는 부모들의 요구도 반영해야 하니까요. 더군다나 동작교육과 음악교육을 현장에 적용하려는 교사라면 으레 온종일 앉아있느라 좀이 쑤신 유아들의 적극적이고 소란스러운 반응에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왜 아이들은 이렇게 정신없이 행동할까? 마치 이리저리 튕겨 다니는 탱탱볼 같군!’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몇 번 경험하고 난 교사가 유아에게 동작 경험을 제공하길 꺼리는 것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말합니다. 소란스럽고 어렵다고 해서 동작 경험의 제공을 그만두어서는 안 된다고. 저 역시도 말합니다. 교육과 동작은 분리할 수 없다고. 그렇게, 거의 30년이 지났습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전면 시행된 2020년은 더욱 특별하게 다가옵니다.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에게 ‘놀이’를 돌려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유아가 자유롭게 선택한 놀이에, 방해받지 않고, 시간 가는 줄도 모른 채 온전히 몰입하기를 말입니다. 수많은 연구자가 2세에서 7세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기본동작을 경험하고 정련하는 것, 또 다른 그 무엇이 되어서 자기 생각을 신체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교사가 앞선 사실들을 잘 인지하고 있다면, 유아들은 놀이 가운데에서도 이러한 경험을 놓치지 않을 수 있을 터입니다.
저자는 이번 개정판에서 골조를 그대로 유지한 채 내용을 조금 더 간략히 함으로써 중요한 부분을 조명하였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숙고해볼 필요가 있는 부분을 토대로 연구 과제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변화도 하나 소개하고 싶습니다. 현대에는 첨단기술이 우리 삶의 전반을 바꾸며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비디오와 팟캐스트를 통해 찾아볼 수 있는 자료를 추가로 첨부하였다는 점입니다. 번역을 하면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저자가 제시하는 자료의 대다수를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어 번역에 즐겁게 몰두했던 지난 몇 달이 떠오릅니다. 이 책을 읽고 계실 여러분도 저와 같은 즐거움을 누리길 바라봅니다.
이 책을 다시 번역하게 되어 무척 기쁩니다. 온라인에서 자료를 찾아 살피고,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한 문장, 한 문장 검토하고, 사라진 내용과 보완된 내용의 의미를 비교하며 변화를 짚어나가는 과정이 매우 즐거웠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머릿속에 차곡차곡 저장되어갈 때의 기분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저자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개정판을 번역할 기회를 주신 박세원 대표님과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늘 곁에서 응원해주는 남편 김원우, 딸 지우, 동생 은미 그리고 지금은 하늘에서 우리 모두를 지켜주고 계실 부모님께 이 기회를 빌려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0년 끝자락에서
역자 김은심
차례
•5판 역자 서문ㆍ10
•개정판 역자 서문ㆍ12
•역자 서문ㆍ14
•머리말ㆍ16
•저자에 관하여ㆍ21
•개요ㆍ22
part 1 동작교육의 기초
chapter 01 유아 발달과 동작의 역할 / 29
1. 신체 영역 / 30
2. 사회ㆍ정서 영역 / 40
3. 인지 영역 / 45
연구과제 / 56
현장연구 / 56
참고문헌 / 56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60
chapter 02 음악성 발달 및 창의성 발달과 동작의 역할 / 61
1. 유아와 음악 / 62
2. 유아와 창의성 / 71
연구과제 / 80
현장연구 / 80
참고문헌 / 80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82
chapter 03 유아의 발달 특성과 동작 프로그램 / 83
1. 영아기 / 84
2. 걸음마기 / 93
3. 취학 전 유아기 / 107
4.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 119
5. 장애아 / 130
연구과제 / 140
현장연구 / 140
참고문헌 / 140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143
chapter 04 동작 프로그램의 내용 / 145
1. 동작의 요소 / 146
2. 이동기술 / 152
3. 비이동기술 / 162
4. 조작적기술 / 171
5. 교육 체조 기술 / 180
연구과제 / 185
현장연구 / 185
참고문헌 / 185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187
part 2 음악활동과 동작활동 계획하기
chapter 05 수업계획 / 191
1.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192
2. 발달순서 / 198
3. 다양한 동작주제 활용하기 / 201
4. 단일 동작주제 활용하기 / 205
5. 단원주제 활용하기 / 208
연구과제 / 212
현장연구 / 212
참고문헌 / 213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213
chapter 06 동작교육 시간ㆍ장소ㆍ내용 / 215
1. 시간계획 / 216
2. 공간 / 220
3. 집단의 크기 / 223
4. 복장 / 224
5. 기구와 소도구 / 226
연구과제 / 237
현장연구 / 238
참고문헌 / 238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239
chapter 07 음악 선정과 활용 / 241
1. 음악 선정하기 / 242
2. 음악 활용하기 / 248
연구과제 / 265
현장연구 / 265
참고문헌 / 265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266
part 3 동작활동 촉진하기
chapter 08 교수방법 / 269
1. 직접적 접근법 / 270
2. 안내 발견 접근법 / 274
3. 탐색법 / 279
연구과제 / 285
현장연구 / 285
참고문헌 / 286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286
chapter 09 긍정적인 학습 환경 만들기와 유지하기 / 287
1. 동작활동 시 도움이 되는 교수정보 / 289
2.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 / 298
3. 방해하는 행동 / 300
4. 이완의 역할 / 302
연구과제 / 305
현장연구 / 305
참고문헌 / 306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306
part 4 일과에 동작활동과 음악활동 포함시키기
chapter 10 교육과정과 동작교육 / 311
1. 미술 / 314
2. 언어 / 319
3. 수학 / 322
4. 과학 / 327
5. 사회교육 / 333
6. 통합하기 / 339
연구과제 / 342
현장연구 / 343
참고문헌 / 343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344
chapter 11 전이활동에 음악과 동작 사용하기 / 345
1. 등원 / 347
2. 교실에서의 전이 / 353
3. 교실 밖으로의 전이 / 355
4. 정리하기 / 357
5. 낮잠시간 / 359
6. 귀가 / 362
연구과제 / 363
현장연구 / 363
참고문헌 / 364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364
chapter 12 실외에서의 동작교육 / 365
1. 운동장 / 369
2. 구조물 / 371
3. 평균대 / 372
4. 터널 / 373
5. 플랫폼 / 374
6. 타이어 / 375
7. 모래 / 376
8. 타는 기구 / 376
9. 미끄럼틀 / 377
10. 그네 / 378
11. 운동장: 학습의 장소 / 379
연구과제 / 383
현장연구 / 383
참고문헌 / 383
활용 가능한 웹사이트 / 384
부록: 동작교육 관련 자료 정보
전문협회와 간행물 / 385
관련 출판물 / 386
관련 블로그 / 386
동작교육과 체육교육 관련 출판사 / 386
도구 주문처 / 387
음반 주문처 / 387
기구, 소도구 주문처 / 388
용어 해설 / 389
찾아보기 / 396